function 2

함수

오늘은 애증의 함수를 복습했다. 왜 이렇게 함수를 이해하는게 어려웠는지.. 처음 공부를 할 때 함수 부분을 공부 하다가 하다가 안되서 넘겼었다. 그러니 당연히 다른 문법은 물론이고 예제 코드가 이해가 될 리가 없었다. 두번 째 공부를 해도 함수를 활용해서 스스로 코드를 짠 적이 없으니 손에 익지는 않는다. 그래도 처음 공부했을 때 보다 이해가 되는 것 같아서 다행이다. 함수 선언 함수 선언 하는 방법 함수 선언, 식별자에 넣어 선언, 식별자에 넣어 화살표 함수 화살표 함수는 익명함수로서 일회성으로 자주 쓰인다. 호이스팅 함수 선언문은 호이스팅이 된다. 나머지는 호이스팅이 되지 않기 때문에 선언하기 전에 호출 할 수 없다. 화살표 함수 변수에 담지 않고, 인수로서 익명함수로 많이 사용 된다. this로 p..

TIL/JS 2023.03.17

function parameter, argument

MDN문서의 예제를 살펴보며 function에 인자를 주지 않았는데, 값을 받아오는 것을 발견했다. 지금까지 공부했던 예제들은 parameter를 항상 받았는데 이런게 어떻게 가능한 건지 궁금했다. 그래서 parameter를 주었을 때와, 주지 않았을 때 코드를 작성해 보며 차이점을 알게 되었다. parmeter를 적지 않았을 때는 함수 자체적으로 블록문 안의 변수를 찾아 밖으로 추적한다. 블록문 안에서는 외부 스코프에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함수를 호출 하며 argument를 전달 했음에도 argument를 인식하지 못하고, 해당 변수를 찾아 추적한다. function student () { return {name, age, school} } const name = 'Nora'; const age ..

TIL/JS 2023.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