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셔널 체이닝을 공부하다가 예제를 보고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어서 코드를 뜯어보았다. 분명 property를 반환하는 함수임에도 불구하고 계속 빈 객체를 반환하는 것이였다. 그래서 예제인 코드를 수정해서 검토해 본 결과, undefined를 인식하는 방법이 JS와 JSON에서 다르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예제 const rand = () => Math.random() rand() ? { prop1: rand() ? { prop2: rand() ? { prop3: rand() ? '성공!' : undefined } : undefined } : undefined } : undefined; const result = notSure(); cons..